반응형 중국3 면세점에서 물건만 구매한 후 항공권을 취소해버리는 중국인들의 정체 지난 11일, 더불어 민주당 박영선 의원은 관세청으로부터 중국 따이공에 대한 실태를 제출받았다고 합니다. 면세점에서 물건만 구매한 후 항공권을 취소해버리는 중국인들의 정체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중국 따이공은 이른바 '보따리상'이라고 불리는 중국인들이라고 합니다. 대체적으로 해외 여행을 갈 때 탑승구로 가는 길 목에 중국인들이 모여 앉아 대량의 물건을 풀어놓고 물건을 정리하는 것을 보셨을텐데요. 이들은 항공권을 구매한 후 면세점으로 들어가 면세 제품을 대량으로 구매한 후 탑승권을 취소해버린 후 면세점에서 구매한 물품을 재판매해 이득을 취한다고 합니다. 따이공이라고 불리는 중국인들은 외국인들에게 특혜를 주는 면세점의 취약점을 악용해 이러한 범죄 행위를 하고 있다는 것인데요. 박영선 의원은 관세청으로 받.. 실시간이슈 2018. 10. 14. 더보기 ›› [한국반응] 롯데마트 상하이 50여개 점포 매각…11년 만에 중국서 철수 롯데마트 베이징 점포에 이어 상하이 지역 점포 50여 개를 현지 기업에 매각한다고 밝혔다. 롯데마트는 2007년 중국 시장에 진출했으며 사실 상 11년 만에 중국에서의 유통사업을 접고 철수하게 되었다. 롯데마트는 리췬그룹에 53개 점포를 매각 할 예정이며 21개 점포는 리췬그룹측에서 인수를 원하지 않아 정리 또는 폐점 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롯데그룹은 중국 정부로부터 사드 부지를 제공했다는 이유로 표적이 되었으며 중국 랴오닝성 선양시에 진행되고 있었던 롯데타운 건설 프로젝트의 중단과 면세점 매출 감소 등을 포함해 약 2조 원이 넘는 손실을 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아래는 한국 네티즌들의 반응입니다. tlrv**** 매각이 아니고 털고 나올수 밖에 없는건 공산주의 가 아닐런지 fx63**** 다시는 중국.. 국내네티즌반응 2018. 5. 11. 더보기 ›› 법을 바꾸는, 개헌이란 무엇인가? 개헌이라는 것은 헌법을 개정하는 것으로 헌법은 한 국가의 구성 원리와 이념, 기본정신, 국민의 기본권을 규정한 한 국가의 최고 법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법률을 개정하듯이 쉽게 할 수가 없으며 2016년 기준 대한민국 헌법의 10호인데, 대한민국 정부 초대 헌법부터 헌법 개정이 9차례나 있었다는 것을 뜻하며 헌법이 크게 바뀌면 국가의 기본 틀이 바뀐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관습적으로 개헌을 기준으로 몇번째 공화국인지를 정한다 개헌에 대한 사례 한국(National of Assembly of North korea) 한국의 경우에는 대통령 내각제 국가로 최근에는 개헌을 해야한다는 주장이 있지만 일부 반대하는 세력도 존재하기도 하며 4년에 한번씩 국민투표로 국민의 대표를 뽑는 총선에서 개헌선 혹은 개헌저지선이 언급.. 밀리터리 2016. 10. 31.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