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5 집회 참가자 모욕했다가 참교육 당한 미국 고등학생들 미국에서는 워싱턴DC 링컨기념관 광장에서 인디언 인권 옹호 집회가 열렸다고 합니다. 집회 참가자 모욕했다가 참교육 당한 미국 고등학생들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미국 워싱턴DC '링컨기념관' 광장에서 인디언 인권 옹호 집회가 열리는 것을 켄터키주 소재 코빙턴 가톨릭 고등학교 학생들이 보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학생들은 인디언 전통 북을 두드리며 노래하는 필립스를 보며 비웃는 듯한 표정을 지었다고 하는데요. 이 학생들은 트럼프의 슬로건인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라는 문구가 새겨진 빨간 모자를 쓰고 있었다고 합니다. 다른 학생들 역시 '장벽을 건설하라'며 필립스를 이방인 취급하는 모욕적인 언행을 했다고 하는데요. 이와 관련해 필립스는 '나는 학생들이 장벽을 세우라고 외치는 소리를 들었고 여기는 원래 인디언들.. 실시간이슈 2019. 2. 6. 더보기 ›› 미국 클럽에서 뚱뚱하다며 출입을 금지시키면 생기는 일 미국 abc 방송국에서 방영한 'What Would you do'라는 프로그램은 클럽에서 뚱뚱하다는 이유로 출입을 금지시켰을 때 사람들의 반응은?이라는 주제로 촬영을 했다고 합니다. 미국 클럽에서 뚱뚱하다며 출입을 금지시키면 생기는 일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생일을 맞이해 친구들과 함께 클럽에 방문한 한 여성은 뚱뚱하다는 이유로 가드가 출입을 퉁제하는 상황이 생겼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 모습을 한 남성은 쿨하지 못하다며 가드에게 무례하게 할 필요는 없다며 한마디를 하게 되는데요. 또 다른 남성은 여긴 미국이고 미국은 모든 사람이 동등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며 그렇게 해서는 안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한 여성은 출입을 통제당한 여성이 나의 친구이니 같이 입장시켜달라고 말하고 있는데요. 가드는 여성의 말을.. 실시간이슈 2018. 10. 18. 더보기 ›› 밥도둑 1위 '스팸'이 생겨나게 된 이유 스팸은 명절선물 1위를 지속적으로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밥 도둑으로 알려져 있는 반찬입니다. 밥도둑 1위 '스팸'이 생겨나게 된 이유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미국의 대공황 시절 많은 미국인들은 일자리가 없어 실업자로 지내야만 했다고 합니다. 미국의 대공황으로 인해 경제 위기가 닥치자 미국의 한 경제학자는 갑자기 '돼지'를 저격하기에 이르는데요. 미국의 경제학자는 '돼지가 너무 많아 돼지 값이 폭락하면서 농민들이 줄줄이 파산하면서 실업자가 된 것입니다, 농산물 뿐만 아니라 다른 것도 마찬가지'입니다라는 발언을 했다고 합니다. 미국의 한 경제학자의 말을 들은 '루스벨트' 대통령은 '그러면 돼지들을 살처분해서 시장을 안정화시키자라는 것인데 그러면 차라리 돼지나 작물을 실업자에게 주면 안되나'라는 말.. 실시간이슈 2018. 10. 10. 더보기 ›› [한국반응] 한미정상 통화…트럼프 "북미회담 장소·시간 조만간 발표" 대한민국의 문재인 대통령과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11일만에 다시 25분간 통화를 했습니다. 통화 내용은 "북한에 억류된 미국인에 대해 논의를 했다고 한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북미회담 장소와 시간을 조만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는 것을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그 동안 북한에 억류된 미국인에 대한 석방 문제 있어 서로 간의 의견을 주고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 다음은 한국 네티즌들의 반응입니다.------- taen**** 한반도 및 세계의 평화를 기원합니다 nuru**** 와 좀 쉬엄쉬엄 하시죠? 국회의원들 민망하잖습니까ㅋㅋ 631000**** 14번째 통화ㅋㅋ 11일전에 75분동안 하더니 또 했네ㅋㅋ 22일 한미정상회.. 국내네티즌반응 2018. 5. 10. 더보기 ›› 법을 바꾸는, 개헌이란 무엇인가? 개헌이라는 것은 헌법을 개정하는 것으로 헌법은 한 국가의 구성 원리와 이념, 기본정신, 국민의 기본권을 규정한 한 국가의 최고 법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법률을 개정하듯이 쉽게 할 수가 없으며 2016년 기준 대한민국 헌법의 10호인데, 대한민국 정부 초대 헌법부터 헌법 개정이 9차례나 있었다는 것을 뜻하며 헌법이 크게 바뀌면 국가의 기본 틀이 바뀐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관습적으로 개헌을 기준으로 몇번째 공화국인지를 정한다 개헌에 대한 사례 한국(National of Assembly of North korea) 한국의 경우에는 대통령 내각제 국가로 최근에는 개헌을 해야한다는 주장이 있지만 일부 반대하는 세력도 존재하기도 하며 4년에 한번씩 국민투표로 국민의 대표를 뽑는 총선에서 개헌선 혹은 개헌저지선이 언급.. 밀리터리 2016. 10. 31.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다음